건축물 안전진단
구조부재의 열화에 따른 내력저하 및 하중증가에 따른 허용내력 초과 또는 구조물의 증축 구조변경·용도변경 등 리모델링으로 하중의 변동이 예정되는 경우
적정한 조치를 취하여 장래에 발생될 수 있는 위험 요인 제거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경우 구조안전진단이 필요하며, 각 구조부재 별 분담하중을
면밀히 분석·검토하고, 경제성, 시공성 등을 고려하여 보수·보강 또는 주의관찰 등 최적의 유지관리 방향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기존 구조물의 구조 및 설계도서 검토(리모델링일 시 계획도면 포함)
부재 실측 및 비파괴조사를 통해 설계도면과의 적합성 여부 분석
각 구조부재 별 내력검토 후 보수·보강·주의관찰 등 유지관리방안 제시
구조안전확인서 제출
상태평가 안전진단은 구조물의 이상 징후 발생, 노후화로 인한 성능저하 우려, 재건축 등 필요에 따라 구조부재와 비구조부재의 노후화 상태, 손상정도,
구조적 결함 등을
진단하여 현재 상태를 판단하고 재해예방, 안전성 확보, 내구연한 증진 또는 사용여부 결정 등 향후 유지관리 방향(주의관찰·보수·보강·철거 등)을 수립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설계도서 확보 및 자료수집 /
설계도면 파악 /
안전진단 목적 및 범위 파악
설계도면과 일치여부 검토 /
설계도면 미보존시 도면작성 /
육안점검 및 비파괴조사
현장조사자료 분석·검토 /
Safety man을 통한 상태평가
피해안전진단은 건축물, 시설물, 구조물 등이 자연재해, 외부 충격, 노후화, 인접한 공사 현장 등의 원인으로 손상되었을 때,
피해상태를 평가하고 안전성을 진단하는 것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위험을 예방하고 적절한 복구, 보수·보강 방안을 제시하는 과정입니다.
피해 범위 및 유형 확인 /
육안점검 및 자료수집 /
원인 분석
구조적 안전성, 사용성, 내구성 검토 /
위험등급판정 /
추가조사 필요 여부 판단
긴급조치: 즉시 응급보수(사용제한, 임시 보강 등) /
추가조사 필요시 정밀안전진단계획 수립 /
장기 조치 필요시 보강공사 및 유지관리 방안 수립
피해안전진단 결과보고서 작성 /
복구 및 보수·보강 계획 시행 /
사후점검 및 주기적인 안전진단
한국안전진단관리원 | 대 표 : 이경민 |
사업자등록번호 : 282-88-03344 | 이메일 : ksdm2025@naver.com
TEL : 02-2043-2540 | FAX : 02-2043-3541 |
주 소 :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24길 5-14, 4층 403호